본문 바로가기
공부기록/12Research

[2025.04.14.] 엔켐 | 퀄리타스반도체

by 12Research 2025. 4. 15.
반응형

엔켐 (348370) -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위한 글로벌 협력을 본격 추진

 

엔켐 주가 18% 급등...미중 관세전쟁 속 전해액 수혜 기대 - 국제뉴스

엔켐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11일 오후 1시 26분 기준 엔켐은 18.50% 상승한 8만 2000원에 거래 중이다.이날 글로벌 이차전지 전해액 기업 엔켐이 글로벌 최상위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업과 전해

www.gukjenews.com

엔켐은 자회사 TDL을 통해 글로벌 배터리사와 전고체 배터리 공동 기술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했습니다. 이번 협력은 기술 검증을 마친 TDL의 전고체 기술력을 글로벌 기업이 공식적으로 인정한 첫 사례로, 양산 및 상용화 단계에 진입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TDL은 2012년부터 전고체 전해질을 연구해 왔으며, 이미 다수의 글로벌 고객사에 샘플을 공급해 성능 검증을 완료한 바 있습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엔켐은 차세대 배터리 시장에서 한발 앞서 나가고 있습니다.

 

단기 주가 강세…협력 이슈 반영

엔켐의 주가는 최근 기술 협력 발표와 미국 관세 이슈에 대한 반사이익 기대감으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4월 11일 종가 기준 83,200원이던 주가는 14일 장중 91,500원을 기록하며 약 10% 상승했습니다. 이번 주가 흐름은 전고체 배터리 기술 상용화에 대한 기대감과 비중국계 소재 수요 확대 가능성이 동시에 반영된 결과로 풀이됩니다.

 

미국 관세 유예…공급망 다변화 수혜 기대

미국이 중국 외 국가에 대한 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함에 따라, 비중국산 배터리 소재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 엔켐은 미국 조지아에 연 4만 톤 규모의 전해액 공장을 운영 중이며, 현지 기업에 LFP 전해액을 100% 공급하고 있습니다. 엔켐은 올해 말까지 생산능력을 10만 톤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미국 서부 지역에는 제2공장 설립도 준비 중입니다. 이러한 현지 생산 기반은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공급망 안정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전고체 시장 급성장 전망…기술 고도화 완료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고체 전해질 수요는 2025년 1160톤에서 2030년 7만6000톤으로 64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시장 규모 역시 같은 기간 4431억 원에서 5조5000억 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TDL은 지난 2012년부터 전고체 전해질을 연구해왔으며, 2021년에는 연 5톤 생산 규모의 라인을 구축했습니다. 이후 글로벌 고객사에 샘플을 공급하며 성능 검증을 마친 상태입니다. 현재는 상용화를 위한 기술 고도화와 양산 준비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분석됩니다.

 

글로벌 네트워크 기반…시장 지배력 확보 기대

엔켐은 LG에너지솔루션, 파나소닉, 테슬라, GM 등 주요 글로벌 고객사들과 협력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로벌 공동 개발은 단순한 기술 테스트를 넘어, 시장 지배력 선점을 위한 전략적 협업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특히 TDL이 확보한 기술력과 검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제 공급 계약 체결 및 상용화 전환이 진행될 경우 엔켐은 국내뿐 아니라 북미·유럽 시장에서도 경쟁사 대비 확고한 입지를 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다만 기술 상용화의 속도, 시장 진입 시점, 경쟁 기술의 추격 등은 중장기적으로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요소입니다.

 

 

  • 최근 일봉 차트에서 우하향 추세를 돌파하며, 단기 추세가 전환되는 모습을 보임.
  • 이전 박스권 고점을 상향 돌파한 후 해당 구간에서 지지를 받는 흐름이 나타남. 이는 상승세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시그널로 해석됨.
  • 주봉 차트에서도 현재 가격대에서 강한 매수세가 유입되며 지지받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저점을 높인 구조로, 추세 전환 초입으로 볼 수 있음.
  • 현 구간에서 재차 지지가 확인된다면, 새로운 우상향 박스권 형성 및 상승 추세 전개가 기대됨.

 

엔켐 (348370)
매수 구간: 83,500원 ~ 79,400원
목표가격: 97,400원 (+16.6% ~ +22.6%)
손절가격: 종가 기준 75,000원 이탈 시 (-10.2% ~ -5.5%)

 

경기침체 덮친 관세폭탄… 공정률 85% 2차전지공장 건설도 멈췄다
[특징주] 트럼프 “90일 관세 유예”에 이차전지株 강세
美 관세 유예됐지만…2차전지 불확실성 여전
엔켐, 글로벌 기업과 전고체 배터리 기술 협력 기대감…10%대↑[핫스탁]
엔켐 "티디엘, '전고체 배터리' 공동 협력 기술 개발 진행"
엔켐-티디엘 "전고체 양산 시동…EV 넘어 휴머노이드, 미래 모빌리티 정조준"
[특징주] 엔켐, 美-中 '관세전쟁' 수혜주로 꼽히며 강세
[더벨]엔켐-티디엘, 전고체 배터리 양산 단계 진입
미국 관세전쟁중 수혜

 

 

퀄리타스반도체 (432720) - 퀄리타스반도체, CXL 수혜 기대

 

[특징주] 퀄리타스반도체 급등, 트럼프 “韓 관세 유예·中 125% 관세폭탄” 엇갈린 반도체 업계

퀄리타스반도체(432720)의 주가가 급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퀄리타스반도체의 주가는 오전 10시 24분 기준 전일 대비 17.13% 상승한 1만3060원에 거래되고 있다.이

www.widedaily.com

CXL 테마 수혜…글로벌 데이터 폭증에 따른 주목

퀄리타스반도체는 최근 반도체 시장의 강세 테마 중 하나인 CXL(Compute Express Link)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CXL은 CPU, 메모리, 저장장치 간 데이터 전송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인터페이스 기술입니다.

AI와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으로 서버 처리량이 급증함에 따라, CXL은 시스템 구성 요소 간 연결과 메모리 공유를 통해 처리시간을 단축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CXL 3.0 표준이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장에 적용될 예정이며, 관련 기업들의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퀄리타스반도체도 이 흐름에 맞춰 고속 인터페이스 IP 기술을 선도하며 기술 기반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MIPI PHY IP 기술력 확보…미국 기업과 상용화 확정

퀄리타스반도체는 최근 MIPI D-PHY 및 C/D-PHY Combo IP를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양산 공급에 돌입했습니다. 이 기술은 모바일 및 이미징 SoC 설계를 위한 고속 인터페이스 IP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첨단 공정 노드인 fnm 기반 PHY IP 개발에 성공했으며, 미국 팹리스 기업과의 계약을 통해 상용화도 확정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수요에 대응 가능한 기술력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추후에는 상위 계층 컨트롤러인 DSI-2, CSI-2 IP 개발도 계획 중이며, 통합형 IP 플랫폼으로 SoC 고객사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트럼프 관세 유예 수혜…온디바이스 AI 관련주로 주목

퀄리타스반도체는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한국 관세 유예 정책 수혜주로도 부각되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90일간 관세 유예를 발표하면서 국내 반도체 관련주들이 일제히 강세를 보였습니다. 퀄리타스반도체 역시 17% 이상의 급등세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특히 온디바이스 AI 기술과 관련된 인터페이스 IP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관련 테마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기업…PCIe 6.0 개발 이력 보유

퀄리타스반도체는 2017년 설립된 시스템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으로, PCIe, USB, MIPI 등 고속 인터페이스 IP 개발 및 라이선싱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실리콘 포토닉스 응용기술 개발’ 과제를 수행하며
국내 최초 PCIe 6.0 PHY IP 솔루션 개발에도 성공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파운드리 및 디자인하우스와 협력하며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 최근 저점을 높이며 반등세를 보이고 있는 모습
  • 기존 박스권 하단인 13,000원 부근을 다시 회복하며 지지 테스트 중
  • 이 구간에서 지지력이 확인되면 새로운 우상향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 있음
  • 단기 목표는 17,500원 부근의 매물 저항 구간으로 설정
  • 해당 구간에서 거래량 증가와 함께 돌파 시 중기 상승 흐름 강화 예상
  • 매매 전략은 하단 지지선 매수 → 상단 저항선 매도 흐름으로 접근 권장
퀄리타스반도체 (432720)
매수구간: 13,510원 ~ 13,000원
목표가격: 17,500원 (+29.1%)
손절가격: 12,400원 (-7.7%)

 

[강세 토픽] 반도체 - CXL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 테마, 파두 +6.75%, 퀄리타스반도체 +3.76%
퀄리타스반도체, 반도체 핵심 IP 구현 성공...美 기업과 계약 상용화 확정
[특징주] 퀄리타스반도체 급등, 트럼프 “韓 관세 유예·中 125% 관세폭탄” 엇갈린 반도체 업계
‘관세 유예’ 퀄리타스반도체·제주반도체·가온칩스·유네퀘스트·HPSO 급등, 온디바이스AI株 일제히 상승
반응형